ESG 내 G(Governance, 지배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2025. 10. 16. 14:24ESG

ESG 내 G(Governance, 지배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ESG에서 G(Governance, 지배구조)는 기업이 어떻게 경영 결정을 내리고,

그 과정에서 투명성과 책임성을 확보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항목이다.
즉, ‘누가 회사를 운영하느냐’보다 중요한 것은 의사결정 구조가 공정하고 윤리적으로 작동하는가이다.

기업이 아무리 환경(E)과 사회(S) 분야에서 좋은 성과를 내더라도,
경영진의 의사결정이 불투명하거나 부패 리스크가 크다면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인정받기 어렵다.
그만큼 G 부문은 기업의 신뢰도와 장기적인 생존력을 좌우하는 핵심 영역이다.

다음으로 평가 항목, 평가 기준, 예시를 살펴보자.

 

 

① 이사회 구조 및 독립성 (Board Structure & Independence)

평가 기준
기업 의사결정의 핵심인 이사회가 독립적이고 전문적으로 운영되는가를 평가한다.
사외이사 비율, 다양성, 전문성, 그리고 이해상충 방지 체계가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증빙 자료 예시

  • 이사회 규정 및 운영 내규
  • 이사회 회의록
  • 사외이사 현황 및 독립성 평가서
  • 위원회(감사, 보상, ESG 등) 운영 보고서

② 윤리경영 및 부패방지 (Ethical Management & Anti-Corruption)

평가 기준
기업이 부패를 예방하고, 투명한 윤리경영 체계를 유지하는가를 본다.
단순히 규정을 보유하는 것뿐 아니라, 실제 운영 여부가 중요하다.

증빙 자료 예시

  • 윤리규범
  • 임직원 윤리교육 자료
  • 내외부 신고 제도 운영 내역 
  • 부패방지 정책 및 감사 결과

③ 리스크 관리 및 내부통제 (Risk Management & Internal Control)

평가 기준
기업의 재무·비재무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가를 평가한다.
경영진의 보상체계 공정성, 내부 감사 기능의 독립성도 중요한 요소다.

증빙 자료 예시

  • 리스크 관리 매뉴얼 및 내부통제 규정
  • 내부 감사 보고서
  • ESG 리스크 점검표
  • 경영진 보상정책 문서

④ 정보공시 및 투명성 (Disclosure & Transparency)

평가 기준
기업의 경영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고, 이해관계자에게 신뢰성 있게 전달되는가를 평가한다.
재무 및 비재무 정보의 공시 정확성, 공개 시기,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 체계가 포함된다.

증빙 자료 예시

  • 지속가능경영보고서(ESG Report)
  • 사업보고서 및 공시자료
  •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기록
  • 정보공시 내부관리 절차서

⑤ 주주 및 이해관계자 권리 보호 (Shareholder & Stakeholder Rights)

평가 기준
기업이 주주와 협력사, 고객, 지역사회 등 이해관계자의 권리를 공정하게 보호하고 있는가를 본다.
특히 주주총회 운영의 투명성과 소액주주 권익 보호 제도가 중요한 항목이다.

증빙 자료 예시

  • 주주총회 의사록 및 관련 규정
  • 협력사 상생협약서 및 윤리조항 포함 계약서
  • 고객·지역사회 의견 반영 절차

■ 실무 팁

  • 이사회 운영 실적은 단순히 “회의가 열렸다”로 끝나면 안 됩니다.
    의결사항의 ESG 연계성을 명시하고,
    ESG 관련 의사결정(예: 탄소감축, 인권정책 등)을 회의록에 직접 기록해두면 평가 시 신뢰도가 높습니다.
  • 리스크 관리는 “연 1회 점검”으로 끝나면 안 됩니다.
    ESG 항목별 리스크(예: 탄소배출, 협력사 인권, 정보보안 등)를 분기별 점검표로 관리하면 평가 시 큰 강점이 됩니다.
  • 홈페이지 내 “ESG 경영” 메뉴를 별도로 구성하고,
    공시 자료·정책·인증서 등을 한곳에 모아두면 평가기관이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한, ESG 보고서는 매년 동일한 포맷으로 발행해야 데이터 일관성이 확보됩니다.

 

G(지배구조)는 ESG 경영의 근본적인 기반이다.
환경(E)과 사회(S) 부문의 노력이 실제로 기업 내에서 지속되려면,
그 모든 활동이 공정하고 투명한 지배구조(G) 위에서 운영되어야 한다.

즉, ESG의 성과는 결국 윤리적 의사결정과 책임 있는 경영 구조 위에서만 지속 가능하다.
기업이 진정한 신뢰를 얻기 위해선, G 부문부터 단단히 다져야 한다.